[Codeup] Python 기초 100제_내용 정리 본문

IT/코테문제

[Codeup] Python 기초 100제_내용 정리

호랑구야 2023. 10. 16. 09:00

* 문제를 풀어보고 주관적으로 내용을 정리한 글

 

문제집 / Python 기초 100제

 

codeup.kr

python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울 때 좋은 습관

  1. 입력된 문자열을 정확하게 잘라낸다.
    1. 공백
      a, b = input().split()
    2. 줄바꿈
      b = input()
      a = input()
    3. 구분문자
      a = input().split(’:’)
  2. 잘라낸 데이터들을 데이터형에 맞게 변환해 변수에 저장한다.
    1. 정수
      a = int(a)
    2. 실수
      b = float(b)
    3. 문자
      c = chr(c)
    4. 문자열
      d = str(d)
  3. 값을 저장했다가 다시 사용하기 위해, 변수를 이용해 값을 저장하고 계산을 한다.
  4. 원하는 결과 값을 필요한 형태로 만들어 출력한다.
    1. 공백
      print(a, b)
    2. 줄바꿈
      print(b)
      print(a)
    3. 구분자
      print(a, b, sep = “:”)
    어떤 값을 기록했다가 다시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필요한 변수(variable)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처럼, 여러 개의 값을 하나로 묶어 목록으로 기록했다가 다시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리스트(list)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리스트는 변수들을 모아 놓은 변수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참조번호를 이용해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함수의 활용

Python_기초

\

특수 문자 앞에 \를 붙이면 함수가 아니라 모양 그대로 출력된다

input().split()

공백을 기준으로 입력된 값들을 나누어 자른다

print(a, b, sep=’’, end = ‘’)

출력값 중 변수들이 여러개(a와 b 등) 일 때, 그 둘을 붙여서 출력하는 방법
sep 내부 값이 변하면 변수들 사이에 출력되는 것이 달라진다
end 내부 값이 변하면 출력내용이 끝난 후 나오는 것

%x

16진수 소문자

%X

16진수 대문자

%o

8진수 문자열

int(’a’, 16)

입력값 a를 16진수로 인식함

ord()

어떤 문자의 순서 위치 값
문자 C를 10진수로 변환한 값

chr()

저장된 정수값을 유니코드 문자로 바꾸어 출력

print(a * b)

a가 문자열이고, b가 자연수일 때 a를 b번 반복하여 출력한다

a**b

a의 b 거듭제곱

a//b

a를 b로 나눈 몫

a%b

a를 b로 나눈 나머지

format(a, “.2f”)

""내부 값 해석: float이고, 소수점 3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의 정확도로 출력

<<

비트 시프트 연산: 오른쪽에 0이 주어진 개수(n)만큼 추가
2^n배 됨

>>

비트 시프트 연산: 왼쪽에 0(0 또는 양의 정수인 경우) 또는 1(음의 정수인 경우)이 개수(n)만큼 추가, 가장 오른쪽에 있는 1비트는 사라진다
1/(2^n)배 됨

bool()

입력된 식이나 값을 평가해 불 형의 값(True 또는 False)을 출력
python 언어에서 정수값 0은 False(거짓)로 평가되고, 그 외의 값들은 모두 True(참)로 평가된다.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bitwise not)
&(bitwise and)
|(bitwise or)
^(bitwise xor)
<<(bitwise left shift)
>>(bitwise right shift)

복합대입연산자

산술연산자(+, -, *, / ... )와 대입 연산자(=)를 함께 쓰는 것
+=, -=, *=, /=, //=, %=, &=, |=, ^=, >>=, <<=, **=

리스트.append(값)

리스트 마지막에 원하는 값을 추가해 넣음

함수 range(시작, 끝, 증감)

시작 수는 포함, 끝 수는 포함하지 않음. [시작, 끝)
증감 생략시 기본 값은 1

List Comprehensions

d = [[0 for j in range(20)] for i in range(20)]

map(함수, 반복 가능한 자료)

자료 요소에 함수를 하나하나 적용한 map객체를 생성한다
튜플이나 리스트 등으로 형 변환을 해야 한다

반응형
Comments